Search
🏃

스프린트 보드

Start
최소 기간
스프린트
Key Point
2021/06/24
2주
디자인 작업을 하기 전, 와이어프레임으로 사용성 검증을 하자 일단 와이어프레임 지금 ver을 넘겨서 개발단이 어느 정도 숙지하게 만들고, 사용성 검증을 통해 개선된 ver에 디스크립션을 추가해 완전히 개발할 수 있게 하자
2021/05/20
2주
포트폴리오, 매매일지를 모두 가져가기에 리소스가 크므로, 매매일지만 집중한다 데스크 탑 구현은 상관하지 않고, 일단 모바일 구현에 집중한다. 개발이 먼저 착수될 수 있도록, 디자인이 완료되기 전에 와이어프레임을 먼저 전달한다.
2021/05/17
3주
2개의 유저 그룹으로 나뉜다 : 콘텐츠 소비자 / 콘텐츠 제작
2021/05/13
0.5주
개발 딜레이가 된 만큼,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쓰자
2021/05/04
1주
회고는 다음 주 스프린트까지 묶어서 진행
2021/04/27
1주
포토폴리오, 매매일지 모두 중요하므로, 둘 다 OCR 적용 사전 질문의 목표 : 인터뷰이 파악해서, 인터뷰 설계를 다듬는다 인터뷰 목표 : 자신의 수익 여부를 판단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데이터를 알아낸다 / 다른 사람의 주식과 관련해서 궁금해 하는 데이터를 알아낸다.
2021/04/06
3주
스프린트가 끝날 때마다, 작업물 공유 + 다음 스프린트에서 할 태스크 정하기 + 이번 스프린트 회의
2021/03/20
2주
GNB를 기준으로 스프린트처럼 일해보고, 각자가 태스크를 리드한다. my 포토폴리오 와이어프레임을 만든다 앞으로 회의는 스프린트가 시작할 때, 끝날 때 진행 + 줄어든 회의는 슬랙으로 커버
2021/03/12
1주
모든 기능(성향, 포토폴리오, 추천)을 다 구현하고 배포 추천 시스템 - 배포 시 : 일단 납득할 만한 선에서(백엔드) 알아서 배포 - 데이터가 쌓인 후 : 알고리즘 단으로(데이터 분석) 처리한다.
2021/03/04
핫픽스
반응형 웹을 만들 예정 ⇒ 모바일 Web 위주로 기획 및 디자인 작업 완료 후, 데스크탑 Web으로 튜닝
2021/03/02
1주
MVP의 목표 : 나와 비슷한 개미인데, 나보다 살짝 더 잘하는 사람을 보고 배운다.
2021/02/22
1주
팀의 핵심 가치 : " 지금까지 자신이 안해본 일을 도전하고, 스스로 만족하는 수준까지 성장한다. " MVP 기능 (1) '성향 분석'과 '포트폴리오(+ 변화 이유)'를 기반으로, 비슷한 사람끼리 포토폴리오 콘텐츠를 매칭한다. (2) (Service Voice, UI) 어려운 투자 언어를 사용자 관점에서 풀어낸다
2021/02/15
2주
타겟 정의 (1) 돈을 적게 넣어서 손실 부담감이 낮다 (2) 추가적인 학습을 해야, 의미를 알 수 있는 용어나 투자 지식은 모른다. (3) 쉽고 간편한 정보에만 의존한다 정보 제공을 메인 키워드로 가져간다
2021/02/05
0.5주
타겟은 주식 초보자 핵심 기능은 '주식 학습', '뉴스(=쉬운 정보) 제공' 중 하나 메인 기능을 먼저 구현하고, 추가하는 식으로 애자일하게 일한다
COUNT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