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개발에게 넘길 와이어프레임 만들기

Key Point
포트폴리오, 매매일지를 모두 가져가기에 리소스가 크므로, 매매일지만 집중한다 데스크 탑 구현은 상관하지 않고, 일단 모바일 구현에 집중한다. 개발이 먼저 착수될 수 있도록, 디자인이 완료되기 전에 와이어프레임을 먼저 전달한다.
Start
2021/05/20
최소 기간
2주

Next Action

명성
개발팀에게 지금까지 기획 스토리 전달
개발팀에게 이슈 체크
나림, 상아, 혜지
개발이 착수될 수 있을 정도의 와이어프레임 완성

Key Point

포트폴리오, 매매일지를 모두 가져가기에 리소스가 크므로, 매매일지만 집중한다
데스크 탑 구현은 상관하지 않고, 일단 모바일 구현에 집중한다.
개발이 먼저 착수될 수 있도록, 디자인이 완료되기 전에 와이어프레임을 먼저 전달한다.

Agenda

스프린트 결과물 공유

이번 스프린트가 끝날 때의 모습 생각하고 얼라인하기 GUI 앞단의 작업까지 완료
이전과 변경된 부분
쏟을 수 있는 리소스를 고려해, 가져갈 기능의 볼륨을 줄임
(과거) 포토폴리오 from '내 자산'+ 매매일지 from '매매내역'
(현재) 매매일지에 집중

고객 조사 이후, 우리의 MVP 목표에서 변경된 부분이 있을까?

고객
1.
첫 회의 때, 우리가 설정한 고객
돈을 적게 넣어서 손실 부담감이 낮다
추가적인 학습을 해야지 의미를 알 수 있는 용어나 투자 지식은 모른다.
쉽고 간편한 정보에만 의존한다
2.
저번 회의 때, 좀 더 날카롭게 정의한 고객
콘텐츠 제작자
콘텐츠 소비자
우리의 MVP
아래의 MVP의 목표에서 변경된 부분이 있을까?
나와 비슷한 개미인데, 나보다 살짝 더 잘하는 사람을 보고 배운다.
MVP 기능 포커스
서비스 구현 채널 : 반응형 Web ( Mobile Web 중심으로 )
쉽게 매미일지를 작성하고, 비슷한 사람끼리 매매일지를 서로 공유한다.
(Service Voice, UI) 어려운 투자 언어를 사용자 관점에서 풀어낸다

개발단의 의견

체크할 부분
소셜 로그인 파트가 꼭 필요한가? 로그인, 회원가입만 있어도 되지 않은가?
소셜 로그인 가입하면서 정보를 가져올 수 있음 = 회원가입 시, 허들을 낮춰준다
기획단에서 리소스에서 큰 무리는 없을 듯
로그인, 회원가입을 지금 먼저 가져가야 하는가?
두 가지 중 한 가지 선택
1.
로그인(+회원가입)을 지금 함께 고려하면, 기능을 병행으로 구현해서 속도가 느려질 거 같음
→ 1차 기능 구현 후, 로그 기능을 바로 구현하는 게 전체 시간을 고려할 때, 가장 빠르다.
2.
서버, 디비, 데이터 분석에서 반드시 필요하다면?
→ 해당 영역에서 이쁜 디자인이 필요한 건 아님
→ GUI 입히기 전 수준으로 명성이 빠르게 만들어서 전달
와이어프레임 작업하고 전달

기획 과정 중 추가 이슈?

OCR에서 이미지를 불러왔을 때, 계좌 번호, 이름, 비밀번호 등 민감한 정보를 가리기 처리가 가능한가?
자동적으로 가려지기 → 안 된다면, 드래그해서 가리기
실시간 주가 정보를 30분의 텀으로 가져올 수 있나?
매수일 경우에는 바로 실현된 게 아님 = 수익률을 바로 제시할 수 없음
현재 주가를 30분 단위로 받아올 수 있다 = 예상 평가 수익률 제시
텀은 더 짧게도 가능한가? 늦으면 어느 정도까지?
적응형 가능하지 않나?
반응형보다 공수 이득인 거 같은데
OCR에서 누락된 매입/매도/ 수량 등을, 직접 입력했을 때 계산이 바로 되는가?
OCR 인식 시간 (이미지 → 텍스트 변환 시간)

이번 주 스프린트 할 일

이번 스프린트가 끝날 때의 모습 생각하고 얼라인하기 와이어프레임 전달이 딱 됐다. + 개발단 팔로우업 완료!
GUI를 모두 완성하고 전달하면, 개발이 늦어짐
개발이 착수될 수 있도록 와이어프레임을 완성해서 먼저 전달 → 이번 스프린트 목표
다음 스프린트에서, 디자인 시안 작업하고 다시 전달
이번 주 스프린트는 언제까지? 2주
대기
2
진행 중
3
잠시 홀드
0

이번 주 회고

스프린트
두둥장
이번 스프린트에서 만족 or 성장한 부분은?
어떤 점을 보완하면 성장할 수 있을까?
이번에 점수를 매긴다면? ( 0 ~ 5점 )
#Sprint6
명성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 을 생각하면 더 좋을 거 같다
4
#Sprint6
상아
지난 번 스프린트와 비교해서 달라진 부분도 있지만, 효율적으로 일의 속도가 높아지지 않았다.
2
#Sprint6
나림
사용성 테스트하면서, 세부적인 부분을 개선하면 좋을 거 같다
4
#Sprint5(0521~0610)
명성
개발단이랑 조율을 좀 시작해야 할 것 같다.
5
#Sprint4(0512 ~ 0520)
상아
언제나 시간이 필요하다
4
#Sprint4(0512 ~ 0520)
혜지
단단하게 맞췄던 것에 맞춰서, 전에 설정한 가치나 목표 등을 잘 정립해야겠다.
3
#Sprint4(0512 ~ 0520)
나림
오늘 페르소나에 맞춰서, 액션 아이템 뽑았던 것을 좀 더 저희 서비스에 맞게 생각 해봐야 할 것 같다
3
#Sprint4(0512 ~ 0520)
명성
고객에 대한 조사 같은걸 일찍 했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4
#Sprint3(0429 ~ 0512)
나림
앞으로 딜레이가 될 수 있다. 개발에서 딜레이 된 부분을 소통을 잘 했으면 좋겠다 + 우리도 속도를 더 내자
3
#Sprint3(0429 ~ 0512)
혜지
다음 주 오프라인 만나니깐 더 잘할 듯
3
#Sprint3(0429 ~ 0512)
명성
이번 2주 동안 고객 인터뷰를 하면서, 시간이 많이 뺏긴 것 같다. 다음부터 한정된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방향을 고민해야할 듯!
3
#Sprint2 (0406 ~ 0429)
명성
고객 관련해서 조사를 더 확실히, 먼저 해야겠다 부채를 막기 위해
3
#Sprint2 (0406 ~ 0429)
혜지
시간을 투자해야겠다.
2
#Sprint2 (0406 ~ 0429)
상아
초반에 빠트린 부분이 있다 보니깐, 시간이 딜레이 됐다 ㅠ
3
#Sprint2 (0406 ~ 0429)
나림
이 프로젝트에 시간을 더 써야겠다
2
#Sprint1 (0320~0406)
혜지
집중을 하는 능력을 길러서 목표 달성을 이루자
1
#Sprint1 (0320~0406)
나림
와이어프레임 돌아가기 전에, 어떤 데이터를 받아올지 리서치 해봐야겠다.
1
#Sprint1 (0320~0406)
상아
시간 안배를 잘 해서 효율을 높여야 한다. 어떤 데이터를 받아올지 확정하고 작업해야 겠다.
2
#Sprint1 (0320~0406)
명성
부반장으로 역할 잘 못한 거 같음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