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 Action
명성
•
개발팀에게 지금까지 기획 스토리 전달
•
개발팀에게 이슈 체크
나림, 상아, 혜지
•
개발이 착수될 수 있을 정도의 와이어프레임 완성
Key Point
포트폴리오, 매매일지를 모두 가져가기에 리소스가 크므로, 매매일지만 집중한다
데스크 탑 구현은 상관하지 않고, 일단 모바일 구현에 집중한다.
개발이 먼저 착수될 수 있도록, 디자인이 완료되기 전에 와이어프레임을 먼저 전달한다.
Agenda
스프린트 결과물 공유
이번 스프린트가 끝날 때의 모습 생각하고 얼라인하기
GUI 앞단의 작업까지 완료
이전과 변경된 부분
•
쏟을 수 있는 리소스를 고려해, 가져갈 기능의 볼륨을 줄임
•
(과거) 포토폴리오 from '내 자산'+ 매매일지 from '매매내역'
→ (현재) 매매일지에 집중
고객 조사 이후, 우리의 MVP 목표에서 변경된 부분이 있을까?
고객
1.
첫 회의 때, 우리가 설정한 고객
돈을 적게 넣어서 손실 부담감이 낮다
추가적인 학습을 해야지 의미를 알 수 있는 용어나 투자 지식은 모른다.
쉽고 간편한 정보에만 의존한다
2.
저번 회의 때, 좀 더 날카롭게 정의한 고객
콘텐츠 제작자
콘텐츠 소비자
우리의 MVP
나와 비슷한 개미인데, 나보다 살짝 더 잘하는 사람을 보고 배운다.
MVP 기능 포커스
•
서비스 구현 채널 : 반응형 Web ( Mobile Web 중심으로 )
•
쉽게 매미일지를 작성하고, 비슷한 사람끼리 매매일지를 서로 공유한다.
•
(Service Voice, UI) 어려운 투자 언어를 사용자 관점에서 풀어낸다
개발단의 의견
체크할 부분
소셜 로그인 파트가 꼭 필요한가? 로그인, 회원가입만 있어도 되지 않은가?
•
소셜 로그인 가입하면서 정보를 가져올 수 있음 = 회원가입 시, 허들을 낮춰준다
•
기획단에서 리소스에서 큰 무리는 없을 듯
로그인, 회원가입을 지금 먼저 가져가야 하는가?
두 가지 중 한 가지 선택
1.
로그인(+회원가입)을 지금 함께 고려하면, 기능을 병행으로 구현해서 속도가 느려질 거 같음
→ 1차 기능 구현 후, 로그 기능을 바로 구현하는 게 전체 시간을 고려할 때, 가장 빠르다.
2.
서버, 디비, 데이터 분석에서 반드시 필요하다면?
→ 해당 영역에서 이쁜 디자인이 필요한 건 아님
→ GUI 입히기 전 수준으로 명성이 빠르게 만들어서 전달
와이어프레임 작업하고 전달
기획 과정 중 추가 이슈?
•
OCR에서 이미지를 불러왔을 때, 계좌 번호, 이름, 비밀번호 등 민감한 정보를 가리기 처리가 가능한가?
자동적으로 가려지기 → 안 된다면, 드래그해서 가리기
•
실시간 주가 정보를 30분의 텀으로 가져올 수 있나?
매수일 경우에는 바로 실현된 게 아님 = 수익률을 바로 제시할 수 없음
현재 주가를 30분 단위로 받아올 수 있다 = 예상 평가 수익률 제시
텀은 더 짧게도 가능한가? 늦으면 어느 정도까지?
•
적응형 가능하지 않나?
반응형보다 공수 이득인 거 같은데
•
OCR에서 누락된 매입/매도/ 수량 등을, 직접 입력했을 때 계산이 바로 되는가?
•
OCR 인식 시간 (이미지 → 텍스트 변환 시간)
이번 주 스프린트 할 일
이번 스프린트가 끝날 때의 모습 생각하고 얼라인하기
와이어프레임 전달이 딱 됐다. + 개발단 팔로우업 완료!
GUI를 모두 완성하고 전달하면, 개발이 늦어짐
•
개발이 착수될 수 있도록 와이어프레임을 완성해서 먼저 전달 → 이번 스프린트 목표
•
다음 스프린트에서, 디자인 시안 작업하고 다시 전달
이번 주 스프린트는 언제까지?
2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