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 Action
2월 15일 (월) 오후 9시에 회의 진행
기획팀
→ 타겟 더 구체화
→ '학습'과 '뉴스(=쉬운 정보) 제공' 과 관련된 레퍼런스 조사 및 간단한 기획
→ 두 기능 중, 우선 순위가 무엇인지 생각
민열, 명성
→ 데이터 분석팀에게 타겟을 위해 분석할 만한 데이터가 뭐가 있는지 물어보기
Key point
타겟은 주식 초보자
핵심 기능은 '주식 학습', '뉴스(=쉬운 정보) 제공' 중 하나
메인 기능을 먼저 구현하고, 추가하는 식으로 애자일하게 일한다
Agenda
1. Kick off
박상아님, 정나림님 → 기획, 디자인
이명성님 → 기획 서포트, 매니징
양민열님 → 매니징, 데이터 관련 조언
2. 리서치, 아이디어 공유
박상아님
초보자에 중점을 두는 서비스
코로나 시장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한 재테크 초보자들
유튜브나 매체를 통해서만 학습하고 뛰어들다보니 어려움을 느낌.
자신만의 분야가 있는데 시도하기 어려움이 있음. 매체에 자주 유출되는 투자 방법만 집중하게 됨.
(Test→성향→분야 추천→HOWTO→모의투자)
모의투자에 집중이 되는 서비스가 있었으면 좋겠음 ⇒ 자신의 성향에 따라서 투자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줌
투자에 대한 감을 높여주는 서비스를 했으면 좋겠음. (모의투자)
정나림님
주식 매매일지를 기록해서, 주식 학습을 시킨다.
배경 : 주식을 구매하는 데 명확한 이유가 없고, 주변 의견에 좌지우 됨 → 주식 학습 X
유익한 주식 커뮤니티
이명성님
우리의 가장 큰 장점 : 주식을 잘 모르는 사람들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양민열님
복잡한 주식 데이터를 쉽게 가공해서 제공
데이터 분석팀의 능력을 이용하자
단순 뉴스 크롤링은 차별점이 못 됨
뉴스들이 유의미한 정보인지 판단해서 제공
뉴스가 악재냐 호재냐? ⇒ 차트 분석에 도움 제공
3. 타겟과 핵심 기능
타겟
주식을 잘 모르는 사람 = 우리 같은 사람
전문 투자자가 아닌, 가벼운 마음에 주식을 시작한 사람들
주식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되서, 주식 데이터를 심도 깊게 분석하지 못하는 사람
핵심 기능
핵심 기능은 주식 학습, 뉴스(=쉬운 정보) 제공
이 둘 중, 어떤 게 타겟에게 더 필요할지 아직 모름 → 다음 회의 때 정하자
하나를 먼저 메인으로 가져가고, 나머지 기능을 추가 → 애자일하게 일하자
4. 기타
React 사용
Web 구현 후, 반응을 보고 App 구현
상반기까지 보는, 장기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