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차 기능 정의

Created
2021/02/08 14:41
Tags
기획

타겟

타겟 : 주린이
주식 차트 잘 못 봄
초기라 돈 많이 투자 X → 부담감 낮음
유명한 기업만 앎 → 각 기업의 제품, 서비스 모름 + 중견 기업 하나도 모름
실시간 트레이딩 X, 주식 사고 묶혀 둠 → 차트 실시간으로 안 봄
소소한 용돈벌이
쉬운 정보 제공 vs 주식 학습
둘 중 어떤 걸 우선으로 가져가야 할까?
타겟 관점
1.
초기라 돈 많이 투자 X, 소소한 용돈 벌이 → 모의투자를 하기보다 걍 적은 돈으로 실제 뛰어보는 게 낫지 않을까?
2.
부담감 낮음, 차트 실시간 안 봄 → 학업처럼 공부를 할까?
주식 학습 프로세스
1.
차트, 뉴스, 유튜브 등에서 학습을 위한 정보 수집
2.
매매일지, 모의투자 등을 통해 학습
3.
학습이 완료되면, 실전 주식
→ 1번이 없으면, 2번의 효과가 미미함
쉬운 정보 제공을 먼저 가져가고, 학습 기능을 서브로 넣어야 한다

쉬운 정보 제공

경쟁사 1. 네이버 뉴스
타겟 : 주식 숙련자(?)
종목명에 집중
한계 : 종목명이나 종목과 관련된 정보를 모르면 아예 알지 못함
종목명에 집중한 뉴스 → 키워드의 뉴스는 보여주지 않음
(ex) 엔씨소프트 키워드 : 게임, PC
투자 뉴스 탭에서도 특정 키워드 뉴스 제공 X
경쟁사 2. 토스
타겟 : 2030, 주린이
키워드에 집중
모르는 종목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 → 매출 top 100, 비싼 주식 top 100 etc
제품만 입력해도 회사와 뉴스가 나옴
재무재표 분석해서 자체 분류표 만듦
서비스 스케치
키워드 or 종목 기반 정보 제공
레퍼런스 ( 서핏 )
레퍼런스 (the VC)

주식 학습

주식 학습 방법
서비스 스케치
1.
뉴스 아카이빙
2.
아카이빙한 뉴스 솔트 (ex) 키워드별
레퍼런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