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는 민감한 문제라서, 자동이든 비자동이든 반드시 가려야 함
1. 일부 영역을 가리는 것 말고, 추출한 데이터가 무엇인지 보여줌으로써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2. 일부 영역을 가리는 것 자체는 가능하지만, 리소스가 많이 든다. 그리고, 리소스 대비 임팩트(=효율성)가 적을 거 같다.
(상아님) 개발팀한테 30분 정도의 텀으로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어쨋든, 실시간 연동이 안되면 수익률을 예상 값으로 보여줘야 한다. 이 시간을 알고 싶다.
네이버 파이낸셜 크롤링을 할 예정이고, 동일 종목 정보를 끌어오는 데 max 10분이 걸릴 듯 하다. 더 단축 가능한 시간은 조사해봐야 안다.
반응형 web을 가져간다고 했을 때, 왜 적응형을 쓰지 않는건지 물어봄 ( 개발팀의 공수 측면에서 그런 듯 )
적응형을 위해선 도메인도 따로 써야하고, 서버도 따로 써야하는 등 공수 측면이 2배가 든다.
만약 OCR에서 정보가 누락되면, 직접 입력을 해야 함 → 이 때, 입력한 정보가 바로 반영되서 수익 등을 바로 계산하는지 궁금함
가능하다